데이터통신4 [데이터 통신/네트워크] DLC (Data Link Control) 데이터 링크와 DLC DLC를 설명하기 전에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Data-Link Layer(데이터링크 계층) - 데이터링크의 통신 방식은 응용, 전송, 네트워크 계층과 달리 Node-to-Node 방식입니다. -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가는 것을 목표로 하지않고, 그 사이에 있는 노드로 이동하는 것만 생각하는 계층입니다. - 점대점(Point-to-Point)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링크를 지원합니다. - 데이터링크 계층은 DLC(Data Link Control)와 MAC(Media Access Control) 두 개의 Sublayer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점대점 링크에서는 공유매체를 접근하는 MAC 부계층은 사용하지 않고 DLC 부계층만 사용합니다. 반면 Br.. 2023. 11. 25.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2장 요약(1) CHAPTER 2 - 물리 계층 [ 2. 물리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전송매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전자기(electromanetic) 신호로 변환해주는 계층 물리 계층의 전송 단위 - 비트(bits) [ 2.1 신호 ] 신호를 설명하기 전에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자 아날로그 데이터(Analog data) - 정보가 연속적인 데이터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 정보가 불연속적인 데이터 ※ 예를들어 아날로그 시계는 초침이 지속적으로 이동을 하여 정보를 보여준다. 하지만 디지털 시계는 정보가 연속적이지 않고 갑자기 숫자가 변하게 된다. 그러면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는 무엇인가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s) - 값이 연.. 2023. 10. 14.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1장 요약(1) CHAPTER 1 - 개요 [ 1.1 데이터 통신 ] 데이터 통신 - 전송매체를 통해 송수신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데이터 통신의 네 가지 특징 1) 전달성 - 데이터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송되어야 하는 특성 2) 적시성 - 적절한 시간에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특성 3) 정확성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전송되어야 하는 특성 4) 파형난조(지터) - 데이터가 도착하는 시간에 대한 불균형성 데이터 통신의 구성요소 1) 송신자 2) 수신자 3) 메세지 4) 전송매체 5) 프로토콜 프로토콜 - 송수신 간에 데이터를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 데이터의 표현 종류 1) 숫자 2) 텍스트 3) 비디오 4) 오디오 5)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흐름 1) 단방향 - 일방통행처럼 한쪽만 송신가능하고.. 2023. 10. 6.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CHAPTER 01 기본 연습문제 풀이 CHAPTER 01 기본 연습문제 풀이 1. 다음 중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성이 아닌 것은? 4) 모두 정답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성 4가지 : 전달성(delivery), 정확성(accuracy), 적시성(timeliness), 지터(jitter) ※ 지터(jitter)를 '파형 난조'라고 부르기도 하며, 패킷의 도착시간에 대한 불규칙성을 뜻한다. 2. 다음 중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4) 모두 정답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5가지 : 메시지, 송신자, 수신자, 전송매체, 프로토콜 3. 근거리 통신망(LAN)은 [ ] 로 정의된다. 1) 네트워크의 기하학적 크기 사용 목적, 연결된 장치 혹은 네트워크의 크기(범위)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으로 정.. 2023. 9.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