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 개요
[ 1.4 프로토콜 계층화 ]
통신이 간단할 경우에는 하나의 프로토콜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이 복잡해질 경우 여러 개의 계층과 각 계층의 프로토콜 구현이 필요하다.
프로토콜 계층화의 원칙
원칙 1) 양방향 통신을 원할 경우 각 계층마다 두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해야 된다.
- ex) 보내는 쪽에서도 읽기 쓰기, 받는 쪽에서도 읽기 쓰기 두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 ex) 암호화 복호화 또한 양쪽 모두 작업이 수행되도록 해야 양방향 통신이 가능
원칙 2) 각 계층의 객체는 동일해야 된다.
- ex) 보내지는 객체가 평문일 경우 받는 객체 또한 평문이야 된다.
- ex) 보내지는 객체가 암호문일 경우 받는 객체 또한 암호문이어야 된다.
TCP/IP 프로토콜 그룹
- 현재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집합 또는 그룹
- 상호작용하는 모듈로 구성되어있으며, 계층적이다.
- 계층적이라는 것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를 받는다는 뜻이다.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계층들
5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3계층) 네트워크 계층 (Network)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1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 사용자에 가까울 수록 최상위 계층, 물리적 장치에 가까울 수록 최하위 계층
참고) 응용, 전송, 네트워크 계층 = 종단-대-종단(end-toend)
참고) 데이터 링크, 물리 계층 = 홉-대-홉(hop-to-hop)
각 계층별 전송 단위(객체)
5계층) Messages
4계층) Segments 또는 User Datagrams
3계층) Datagrams
2계층) Frames
1계층) Bits
OSI 모델
- 서로 다른 컴퓨터나 네트워크 간 상호접속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ISO가 규정한 계층 구조
- TCP/IP 프로토콜 그룹과 달리 7계층 구조이다.
OSI 모델 구조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3계층) 네트워크 계층 (Network)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1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 OSI 모델의 세 계층(응용, 표현, 세션)이 결합되어 오늘날에는 5계층으로 구성된 TCP/IP 프로토콜 그룹 사용
'대학교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2장 요약(3) (1) | 2023.10.15 |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2장 요약(2) (0) | 2023.10.14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2장 요약(1) (0) | 2023.10.14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1장 요약(1) (2) | 2023.10.06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CHAPTER 01 기본 연습문제 풀이 (0) | 2023.09.24 |